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과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정부에서 출시한 금융상품으로 청년들의 장기적인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일정한 가입조건을 충족하는 분들에게 정부기여금(공공재정지급금)이 지급되는 상품입니다.
특히, 24년에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조정하고, 중도해지요건 개선과 육아휴직자 가입이 허용 되는 등 가입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가지 개선된 청년도약계좌의 조건 등을 확인 하시어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주요 혜택을 요약해서 말씀드리면, 매달 천 원 ~ 70만 원 한도 내에 일정 금액을 만기 5년 (고정 3년 + 변동 2년)까지 납입하면 매월 최대 6% 의 정부 지원금 (최대 2.4만 원) 이 지급되는 비과세 상품입니다.
만기 수령 시, 수령액이 최대 5,000만 원 + 비과세까지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설을 위한 본인의 자격 적합성과 예상 총 이자, 총 한도 등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간단한 정보 입력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특징
아래는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특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만기 5년 적금 상품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은 기본이고, 특이한 점은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월 2.1~2.4만 원이 추가로 지급되어 저축액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한도를 확인하시기 위해서는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가입 시 혜택] 메뉴를 클릭하시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구분 | 내용 | ||
나이 | - 만 19 ~ 34세 - 병역이행을 증명할 경우에 한하여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신시 빼고 계산 가능하여 최대 만 40세까지 가능 |
||
본인 소득 | - 지난해 총 급여가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단,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수당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 (24년 변경) 육아휴직자 가입이 허용되어 육아휴직급여·수당이 있으면 가입 가능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
가구 소득 |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24년 3월 5일 발표) *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인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 가구의 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
||
금융소득 종합세 |
가입일에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
가입대상 조건 및 가구 당 중위소득(우리나라 인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 가구의 소득) 구간 확인을 위해서는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가입대상 조건' 메뉴를 클릭하시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본인의 만 나이 계산을 위해서 아래의 만 나이 계산기 버튼을 클릭하시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신청 방법은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고 있는 11개 은행의 모바일앱을 통해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매달 날짜가 조금씩 다르므로 아래의 기준으로 확인하신다면 크게 헷갈리지 않고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 가입 신청: 첫째주까지 선 가입신청을 위해 원하시는 은행의 앱에서 신청을 합니다.
- 가입 요건 확인: 가입 신청 후 둘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가입요건 및 일시 납입 수정을 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신청 후 약 2주 뒤에 심사 결과를 알려줍니다.
- 계좌개설 완료: 심사 결과 후, 넷째 주부터 다섯째 주 (다음 달)까지 계좌개설을 완료합니다.
위를 기준에 따라 24년 3월을 예를 들면,
1) 가입신청기간은 3/4~8까지 입니다.
2) 가입요건 확인 기간은 3/11~22까지 입니다.
3) 계좌개설 완료는 3/25~4/5까지가 됩니다.
매달 신청이 가능하므로 위의 주간 일정을 확인하시어 진행하신다면 어렵지 않게 진행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점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좋은 혜택을 제공하지만 가입 전 반드시 유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 5년 동안 해지 하지 않고 완납할 수 있는지 점검하셔야 합니다.
본인의 수입과 지출을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납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시어 가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
특정 조건하에 계좌를 중도 해지하더라도 일부 혜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호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년 변경 사항 반영됨)
24년 달라지는 점
- 육아휴직자 가입이 허용되어 육아휴직급여·수당이 있으면 가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전년도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전 연도 소득 기준으로 비과세를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24년 1월 이전에 가입한 청년에게도 적용이 됩니다.
- 혼인/출산도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인정되어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모두 지원합니다.
추가로, 24년 3월 5일 정부는 민생토론회에서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지원 강화를 위해,
- 가입요건을 조정하여, 청년들의 수요가 충분히 충족될 수 있도록 중위소득 (우리나라 인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 가구의 소득) 180% 이하를 250% 이하로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 중도해지요건을 개선하여,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와 더불어 정부기여 일부 지원해 주기로 했습니다. (예, 3년 이상 계좌 유지 후 중도해지 시 정부 기여금의 60% 수준 지원)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추가적인 청년도약 계좌에 대한 자주 하는 질문과 답변은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요건 확인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11개 은행의 모바일을 통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해서는 본인의 소득과 가구 구성원의 정보 제공이 필요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해 청년도약계좌의 은행 가입 전에 가입요건 확인을 위해 필요한 "개인(나이) 요건 또는 가구원 정정, 가구원 동의" 절차를 진행하고 진행 경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이나 간편 인증 등의 간단한 본인 인증을 통해 가능하니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궁금하신 경우 서민금융진흥원 (1397번)으로 연락하시어 바로 연결번호 3번을 눌러주시고 상담 받으시거나,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 페이지는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카카오 오픈채팅 참여도 가능하오니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어 개인마다 궁금한 점은 개별적으로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및 신청하기
은행별 금리 확인하기
은행마다 우대금리 제공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은행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면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11개 은행의 금리를 한 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신 후에 상단에 원하시는 은행을 선택하신 후 금리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은행별 혜택 확인하고 신청하기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고 있는 11개 은행의 앱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가입과 신청이 가능합니다. 외국인의 경우는 신청은 가능하지만, 가입은 은행에 방문하여 대면으로 진행해야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은행 영업일에 신청이 가능하며, 영업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 사이에 비대면으로 가능합니다. 또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어 각 은행별 혜택과 문의처를 확인하시어 궁금하신 것은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각 은행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은행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자세한 정보와 가입을 바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은행 | 은행별 혜택 자세히 보기 | ||||
시중은행 | NH농협 | ||||
신한 | |||||
우리 | |||||
하나 | |||||
IBK기업 | |||||
KB국민 | |||||
지방은행 | DGB대구 | ||||
BNK부산 | |||||
BNK경남 | |||||
광주 | |||||
전북 |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신청 관련 주요 질문 사항
질문 1: 일시납입 시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모두 납입해야 하나요?
답변: 아닙니다. 최소 200만 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이내에서 원하는 금액을 일시납입 할 수 있습니다. (예) 만기수령금이 1,200만 원일 경우 800만 원 일시납입하고, 400만 원은 시중은행 타 상품 가입
질문 2: 일시납입 시 월 설정금액을 반드시 70만 원으로 신청해야 하나요?
답변: 아닙니다. 가입자의 상황에 따라 청년희망적금 만기액을 40, 50, 60, 70만 원 배수로 자유롭게 설정하여 일시납입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월 설정금액과 기간에 맞게 일시납입을 완료한 경우 변경이 불가하며, 설정 기간 동안은 추가 납입이 불가합니다. (예) 만기수령금이 1,200만 원일 경우 40만 원 X 30개월 또는 50만 원 X 24개월 등 설정 가능
질문 3: 일시납입 기간이 지나면 매월 얼마까지 납입할 수 있나요?
답변: 일시납입에 따른 전환기간이 종료되면 매월 최소 1,000원 이상 최대 7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 만약, 중간에 상황이 여의치 않아 납입하지 않더라도 계좌는 유지됩니다.
질문 4: 일시납입을 하면 청년도약계좌 만기일이 앞당겨지나요?
답변: 아닙니다. 일시납입을 하여도 5년이 지나야 만기해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에도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추진 중이며, 중도 해지이율도 시중은행 3년 만기 적금금리 내외 수준으로 상향할 예정입니다.
(예) 1,200만 원(월 설정금액 50만 원 X 전환기간 24개월)을 일시납입 했을 경우, 전환기간(24개월)이 지난 25월 차부터 60월 차까지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납입 가능
질문 5: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반드시 일시납입을 해야 하나요?
답변: 아닙니다. 일시납입 정보 입력 기간에 일시납입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시면 매월 자유납입하는 기본납입 방식으로 개설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차이
간단하게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차이점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2개의 가장 큰 차이점은 소득요건과 만기가 다릅니다.
상품 |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
대상 | 만 19 ~ 34세 청년 (병역이행을 증명할 경우에 한하여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신시 빼고 계산 가능하여 최대 만 40세까지 가능) |
||||
운영 방식 | 적금투자운용 형태 (적금형 등) 선택 | 적금 | |||
소득 요건 | 지난해 총 급여가 7,500만 원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지난해 총 급여가 3,600만 원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 |||
납입 금액 | 최대 40 ~ 70만원 | 최대 50만원 | |||
지원금 | 소득구간에 따라 3.0%, 3.7%, 4.6%, 6.0% 월 지급 | 1년차 2%, 2년차 4% 만기 시 지급 | |||
만기 | 5년 | 2년 | |||
비과세 | 비과세 |
* 자료: 금융위원회
'정부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 신청방법, 제출서류 안내 (0) | 2024.05.13 |
---|---|
IBK기업은행 청년도약계좌 주요혜택 총정리 및 신청방법 (0) | 2024.03.11 |
KB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주요혜택 총정리 및 신청방법 (0) | 2024.03.11 |
NH농협은행 청년도약계좌 주요혜택 총정리 및 신청방법 (0) | 2024.03.11 |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주요혜택 총정리 및 신청방법 (0) | 2024.03.11 |